분류 전체보기48 23년 7급 정보보호론 해설 ( 21~25번 ) 헷갈릴 수 있는 문제다. 802.11i의 AES-CCMP에 관한 문제. ㄱ. AES는 128bit의 키를 사용하므로 키의 크기에 관한 내용은 맞다. 문제는 CTR mode와 CBC-MAC 모드에서 동일한 키를 사용하느냐다. 다음은 AES-CCMP의 구조인데, MIC 계산에 쓰이는 키 K와 암호화에 쓰이는 키 K가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AES-CCMP 알고리즘은 크게 CTR 부분과 CBC-MAC 부분으로 나뉘는데, CBC-MAC으로 데이터 전체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값 MIC을 계산한다. 그리고 MIC값은 마지막에 CTR 모드로 암호화하며 마무리된다.ㄴ. Michael 알고리즘이 뭐야..? ㄷ. 데이터 암호화를 위해 AES 암호화를 사용한다. CBC는 MIC 값 계산, 즉 무결성 검사를 위해 사용된.. 2024. 6. 13. 23년 7급 정보보호론 해설 ( 11~20번 ) - RAID 0 : 모든 데이터를 디스크 N개에 나눠서 저장하는 방식. - RAID 1 : mirroring이라고도 불리며 데이터 전체의 복사본을 만들어 저장. 비용 문제가 크다. - RAID 2 : bit 단위의 striping을 하는 방식(striping : 연속된 데이터를 round robin 방식으로 여러 디스크에 저장).- RAID 3 : byte 단위의 striping을 하는 방식.- RAID 4 : block 단위의 striping을 하는 방식. parity를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 RIAD 5 : parity를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는 방식. 최소 3개의 디스크가 요구된다. - RIAD 6 : 성능과 용량을 줄이고 parity를 2개의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식. 그래서 2개의 디스크 오류까지 .. 2024. 6. 11. 23년 7급 정보보호론 해설 ( 1~10번 ) Authentication와 Authorization의 차이를 묻는 문제다. 정보시스템 보안 기출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Authentication은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과정 즉 인증이고, Authorization은 인증된 사용자에게 그에 합당한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 즉 인가를 말한다. 그래서 답은 ② 위험 수용은 존재하는 위험에 따른 디메리트를 감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업을 하는데 있어 위험 관리는 필수이지만 위험을 제로로 만들 수는 없다. 그래서 조직이 감당 가능한 위험을 수용한다.위험 감소는 실행 가능한 대책을 통해 조직의 위험을 줄이는 일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재해에 대비하여 DB 서버의 백업본을 만든다던지, 재난 복구 계획을 세운다던지 등. 위험 전가는 외부.. 2024. 6. 10. Trauma - 재조명되는 밀양 사건을 보면서 요즘 20년 전에 발생했던 밀양 그 사건이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가해자의 신상을 폭로하는 식으로 사적 제재가 이뤄지고 있으며, 그 와중에 무고한 사람이 오해를 사거나 정보의 불명확한 부분도 드러나 혼란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난 이 세태를 보고 바로 웹툰 『비질란테』가 떠올랐다. 하지만 현실은 웹툰보다 참혹하다. 비질란테의 주인공 김지용은 자신만의 철저한 규칙이 있으며, 똑똑하고 잘생긴 경찰대 엘리트다. 더욱이 그를 보좌해주는 최고의 사이드킥 조강옥도 있다. 하지만 현실에선 잔인한 하이애나의 탈을 쓴 유튜버 렉카들이 그저 관심을 모으기 위해 콘텐츠로서 소비하는 느낌이다. 최악인 것은 렉카질을 해도 멍청하게 한다는 것이다. 적어도 유사 언론의 역할을 할거면 프로파간다라도 제대로 세우면 모르겠는데, 지금까지.. 2024. 6. 8. 『Flowers』 후기 Flowers 시리즈. 정말 소녀틱한 백합 비주얼 노벨입니다. 백합물을 좋아한다면 무조건 추천할만한 수작이죠. 계절별로 봄~겨울편까지 총 4개의 시리즈가 존재하는데, 핵심은 시라하네 스오우가 규수들이 다니는 여자 신학교에 입학하여 우정, 사랑, 그리고 학원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는 스토리입니다. 좋았던 점1. 여성향과 남성향 중간 어디에쯤 있는 일러스트. 사춘기 소녀들에 대한 과하지 않은 몸매 묘사가 마음에 들었습니다.2. 개성이 강한 인물들 간의 재미있는 티키타카. 그냥 일상물이라 해도 되게 재밌을 것 같았습니다.3. 다양한 영화와 문학 작품에 대한 비유. 아쉬웠던 점1. 용두사미까진 아니지만 결말이 아쉽네요. 뭔가 대단한 비밀이 있을 것처럼 빌드업 해놓고 막상 별거 없더라니.. 학교에서 사람이 죽.. 2024. 6. 6. 23년 5급 인공지능 해설 혼돈 행렬에 관한 문제다. 혼돈 행렬이 나오면 무조건 다음 표는 암기해야 하고, 이 표만 암기하면 웬만해선 문제를 틀릴 일이 없다. 실제값TrueFalse예측값TrueTrue PositiveFalse PositiveFalseFalse NegativeTrue Negative- 특이도 : TN / ( TN + FP )- 민감도(재현율) : TP / ( TP + FN )- 정밀도(TPR) : TP / ( TP + FP ) 1) F1 score의 수식은 2×(민감도 ×정밀도)/(민감도+정밀도)이다. 그런데 문제에서 주어진 데이터로 계산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라고 했다. 그래서 답에 대한 플롯은 F1 score를 구성하는 수식 중 일부가 문제에서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 2024. 5. 30. 이전 1 2 3 4 5 6 ··· 8 다음